728x90
반응형

31 weeks 473

[가스기술사 2022] 126회 2교시 - 5. 도시가스 사용시설인 정압기 설치장소에 설치해야 하는 사고예방설비 5가지를 쓰고,각각의 설치기준을 설명하시오

문제 5. 도시가스 사용시설인 정압기 설치장소에 설치해야 하는 사고예방설비 5가지를 쓰고,각각의 설치기준을 설명하시오 정압기는 도시가스의 압력을 고압에서 중압으로, 또는 중압에서 저압으로 감압하여 소비처에 공급해주는 설비를 의미하며, 감압장치 외 안전/감시장치 등 사고예방설비로 구성돼 있음 1. 정압기실 구조정압기실은 감압장치(조정기)를 기본으로, 과압안전장치, 가스누출경보기, 긴급차단장치, 경보장치, 환기설비 등으로 구성된다., 2. 정압기 사고예방설비 1) 과압안전장치정압기에는 안전밸브와 가스 방출관을 설치하고, 가스 방출관의 방출구는 주위에 불 등이 없는 안전한 위치로써 지면으로부터 5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해야 한다.(단, 전기시설물과의 접촉 등으로 사고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3m 이상으로 할..

[가스기술사 2022] 126회 2교시 - 4. 가스시설물에서 폭발방지 대책 5가지에 대해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문제 4. 가스시설물에서 폭발방지 대책 5가지에 대해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가스시설물의 주요 폭발 종류로는 누설에 의한 착화로 일어나는 UVCE와 주변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BLEVE가 있음UVCE : Undefined Vapor Cloud Explosion, 증기운폭발- 가스시설물로부터 누설된 가스가 공기와 혼합된 상태에서 점화원에 의해 착화될 때 발생하는 폭발 BLEVE : 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 비등액체증기폭발- BLEVE는 액화가스 탱크 주변 화재 발생 시, 탱크 액온 상승에 따른 과압 발생으로 탱크 벽체의 연성이 파괴되어 액화가스가 급격히 비등/팽창하며 폭발하는 것을 의미하며, 통상 Fire ball로 발전된다. 1. UVCE 폭발방지대책..

[가스기술사 2022] 126회 2교시 - 3. 최근 정부에서는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의 일환으로 도시가스 배관망에 수소의혼입을 추진하고 있다. 수소 혼입에 따라 연소기와 가스기기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영향요소 및 검토 필요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문제 3. 최근 정부에서는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의 일환으로 도시가스 배관망에 수소의혼입을 추진하고 있다. 수소 혼입에 따라 연소기와 가스기기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영향요소 및 검토 필요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은 LEDS(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라고도 부르며,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장기 비전과 국가 전략을 담고 있다.2050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LEDS(장기저탄소발전전략) 및 제2차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정부는 도시가스망에 수소를 일정 비율 혼입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수소 경제 이행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가스기술사 2022] 126회 2교시 -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과압에 따른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밸브 등을 설치하는 경우, 파열판을 설치하는 경우, 파열판과 안전밸브를 직렬로 설치하는 경우를 각각 설명하시오.

문제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과압에 따른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밸브 등을 설치하는 경우, 파열판을 설치하는 경우, 파열판과 안전밸브를 직렬로 설치하는 경우를 각각 설명하시오. 압력용기 등의 고압가스설비의 경우, 과압에 따른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폭발 방지 성능과 규격을 갖춘 안전밸브, 파열판 등을 설치해야 함안전밸브 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를 기본으로, 조건에 따라 파열판을 설치해야 하거나, 파열판 및 안전밸브를 직렬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로 나뉨 1. 안전밸브 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압력용기(안지름이 150밀리미터 이하인 압력용기는 제외하며, 압력용기 중 관형 열교환기의 경우에는 관의 파열로 인하여 상승한 압력이 압력용기의 최고사용압력을 초과할 우려가 있는 경우만 해당함)정변위 압축기..

[가스기술사 2022] 126회 2교시 - 1. KGS GC204 2019 매설 가스배관 내진설계 기준에 의거한 내진설계 시 고압가스 배관과 도시가스배관의 재료 및 이음매의 기준을 설명하시오.

문제 1. KGS GC204 2019 매설 가스배관 내진설계 기준에 의거한 내진설계 시 고압가스 배관과 도시가스배관의 재료 및 이음매의 기준을 설명하시오.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도 지진 발생 시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가스 및 사업자 종류 등에 따라 내진등급을 나누어 내진성능 수준을 갖춰야 함 1. 내진설계기준 1) 내진설계 적용대상지하에 매설되는 사업소 밖의 고압가스 배관지하에 매설되는 액화석유가스 배관망공급 제조소 밖의 배관(사용자 공급관과 내관은 제외)지하에 매설되는 사업소 밖의 도시가스 배관(사용자 공급관과 내관은 제외)지하에 매설되는 사업소 밖의 수소 배관(고법의 적용을 받는 수소 배관은 제외) 2) 내진등급 분류내진등급은 시설물의 공공성, 손상 시 초래될 수 있는 재해의 규모와 범위 등을..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13. 신·재생에너지(New renewable energy)의 정의,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종류 각각 3가지

문제 13. 신·재생에너지(New renewable energy)의 정의,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종류 각각 3가지 1. 신·재생에너지(New Renewable Energy)의 정의신에너지는 기존 화석연료를 변환하거나, 수소·산소 등의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에너지를 말하며,재생에너지는 햇빛, 물, 지열, 생물유기체 등 자연에서 반복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자원을 변환하여 이용하는 에너지를 말합니다. 2. 신에너지 종류 (3가지 이상) 1) 수소에너지수소를 연소시켜 에너지를 생성하며, 연소 시 물만 생성 → 환경 친화적 2) 연료전지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촉매 반응)**을 통해 전기 및 열을 동시 생성 3) 석탄액화·가스화 및 중질잔사유가스화석탄 또는 정제 후 잔사유를 가열하거나 ..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12. 고압가스안전관리법상 ‘특정설비’ 종류 5가지

문제 12. 고압가스안전관리법상 ‘특정설비’ 종류 5가지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서 정의하는 특정설비란, 저장탱크, 압력용기, 차량에 고정된 탱크, 안전밸브, 긴급차단장치 등 고압가스 관련 중요 설비를 의미한다.이런 특정설비는 안전관리가 중요하므로, 최초 검사 후 주기적으로 재검사를 받아야 한다. [ 특정설비의 종류 ] 1. 저장탱크고압가스를 충전, 저장하기 위하여 지상 또는 지하에 고정 설치된 탱크를 의미한다.저장능력이 3톤 이상인 것을 저장탱크, 3톤 미만인 것을 소형 저장탱크라고 한다. 2. 압력용기35℃에서 압력 또는 설계압력이 액화가스인 경우 0.2MPa 이상, 압축가스인 경우 1MPa 이상인 용기를 의미한다.여기서 말하는 압력용기는 공정상 설치된 드럼, 탑류, 열교환기 등 Pressure vess..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11. 화학물질관리법상 ‘유해화학물질’ 및 ‘사고대비물질’

문제 11. 화학물질관리법상 ‘유해화학물질’ 및 ‘사고대비물질’ 화학물관리법에서 “유해화학물질”이란 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그 밖에 유해성 또는 위해성이 있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사고대비물질”이란 화학물질 중에서 급성독성(急性毒性)ㆍ폭발성 등이 강하여 화학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거나 화학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그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 유해화학물질의 종류 ] 1. 유독물질유해성이 있는 화학물질로서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을 의미함ex) 염소, 포스겐, 황화수소, 시안화수소, 아황산가스, 암모니아 등2. 허가물질위해성이 있다고 우려되는 화학물질로서 환경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제조, 수입, 사용하도록 환경부장관이 ..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10. 가스 폭발 위험장소의 구분

문제 10. 가스 폭발 위험장소의 구분 가연성 가스가 폭발할 수 있는 농도에 도달할 우려가 있는 곳을 위험장소라고하며, 이에 대한 등급은 0/1/2종 장소로 구분한다. 가스 폭발 위험장소0종 장소 상용의 상태에서 가연성가스의 농도가 연속해서 폭발하한계 이상으로 되는 장소(폭발상한계를 넘 는 경우에는 폭발한계 이내로 들어갈 우려가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1종 장소 상용 상태에서 가연성가스가 체류해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정비보수 또는 누출 등으로 인하여 종종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탱크의 벤트 부분, 탱크로리 등과의 충전 연결부, 피트 등) 2종 장소밀폐된 용기 또는 설비 안에 밀봉된 가연성가스가 그 용기 또는 설비의 사고로 인하여 파손 되거나 오조작의 경우에만 누출할..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9. 최소점화에너지(Minimum Ignition Energy)와 안전막(Safety Barrier)

문제 9. 최소점화에너지(Minimum Ignition Energy)와 안전막(Safety Barrier) 1. 최소점화에너지(MIE) 가연성 가스 및 공기의 혼합가스가 점화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에너지를 의미하며, 가스시설에서 가스가 누출되더라도 점화원의 크기가 최소점화에너지(MIE) 미만이면 점화되지 않으며, 화재/폭발도 발생하지 않는다.본질안전방폭 구조의 경우 MIE 보다 낮은 에너지만을 사용하여 전기 장비가 폭발을 유발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으로, 0/1/2종 장소에 모두 사용 가능하다.최소 점화 에너지 = 최소 발화 에너지 = 최소 착화 에너지MIE = CV^2 / 2MIE : 최소점화에너지(J, 통상 MIE는 매우 적으므로, mJ의 단위를 사용한다)C : 콘덴서용량(F)V : 전압(V)ex.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