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과압에 따른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밸브 등을 설치하는 경우, 파열판을 설치하는 경우, 파열판과 안전밸브를 직렬로 설치하는 경우를 각각 설명하시오.
- 압력용기 등의 고압가스설비의 경우, 과압에 따른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폭발 방지 성능과 규격을 갖춘 안전밸브, 파열판 등을 설치해야 함
- 안전밸브 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를 기본으로, 조건에 따라 파열판을 설치해야 하거나, 파열판 및 안전밸브를 직렬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로 나뉨
1. 안전밸브 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 압력용기(안지름이 150밀리미터 이하인 압력용기는 제외하며, 압력용기 중 관형 열교환기의 경우에는 관의 파열로 인하여 상승한 압력이 압력용기의 최고사용압력을 초과할 우려가 있는 경우만 해당함)
- 정변위 압축기(통상 왕복동식 압축기를 의미함)
- 정변위 펌프(토출측에 차단밸브가 설치된 것만 해당함)
- 배관(2개 이상의 밸브에 의하여 차단되어 대기온도에서 액체의 열팽창에 의하여 파열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한정함)
- 그 밖의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로서 해당 설비의 최고사용압력을 초과할 우려가 있는 것
2. 파열판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 반응폭주 등 급격한 압력상승의 우려가 있는 경우
- 독성물질의 누출로 인하여 주위 작업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
- 운전 중 안전밸브에 물질이 점착되어 안전밸브의 기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
- 유체의 부식성이 강하여 안전밸브 재질의 선정에 문제가 있는 경우
3. 파열판과 안전밸브를 직렬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
- 반응기, 저장탱크 등과 같이 대량의 독성물질이 지속적으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구조로 된 경우에는 파열판과 안전밸브를 직렬로 설치하고, 파열판과 안전밸브 사이에는 경보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 파열판을 안전밸브 전단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파열판과 안전밸브의 사이에 필요하지 않는 압력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로 한다.
- 파열판을 안전밸브 후단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설치한다.
- 파열판과 토출배관은 안전밸브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치
- 안전밸브와 파열판의 사이에는 필요하지 않은 압력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
- 파열시의 온도에서 파열판의 파열압력의 최대 허용치와 토출측에 걸리는 압력의 합은 다음 수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치
① 안전밸브의 배압 제한치
② 안전밸브와 파열판 사이 배관의 설계압력
③ 관련 기준에서 허용하는 압력
* KOSHA Guide D-18-2020 -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 지침 참고
D-18-2020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pdf
0.91MB
* KOSHA Guide D-50-2012 - 파열판 크기 산정 및 설치 기술지침 참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