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10. 가스 폭발 위험장소의 구분
가연성 가스가 폭발할 수 있는 농도에 도달할 우려가 있는 곳을 위험장소라고하며, 이에 대한 등급은 0/1/2종 장소로 구분한다.
가스 폭발 위험장소
- 0종 장소
- 상용의 상태에서 가연성가스의 농도가 연속해서 폭발하한계 이상으로 되는 장소
(폭발상한계를 넘 는 경우에는 폭발한계 이내로 들어갈 우려가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 상용의 상태에서 가연성가스의 농도가 연속해서 폭발하한계 이상으로 되는 장소
- 1종 장소
- 상용 상태에서 가연성가스가 체류해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정비보수 또는 누출 등으로 인하여 종종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탱크의 벤트 부분, 탱크로리 등과의 충전 연결부, 피트 등)
- 상용 상태에서 가연성가스가 체류해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정비보수 또는 누출 등으로 인하여 종종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 2종 장소
- 밀폐된 용기 또는 설비 안에 밀봉된 가연성가스가 그 용기 또는 설비의 사고로 인하여 파손 되거나 오조작의 경우에만 누출할 위험이 있는 장소
- 확실한 기계적 환기 조치에 따라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환기장치에 이 상이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가연성가스가 체류해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 1종 장소의 주변 또는 인접한 실내에서 위험한 농도의 가연성가스가 종종 침입할 우려가 있 는 장소
* KGS Code GC201 - 가스시설 전기방폭 기 참고
728x90
반응형
'자격증 > 가스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12. 고압가스안전관리법상 ‘특정설비’ 종류 5가지 (0) | 2025.07.14 |
---|---|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11. 화학물질관리법상 ‘유해화학물질’ 및 ‘사고대비물질’ (0) | 2025.07.14 |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9. 최소점화에너지(Minimum Ignition Energy)와 안전막(Safety Barrier) (0) | 2025.07.14 |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8. 오존층의 역할과 오존층파괴지수(ODP, Ozone Depletion Potential) (0) | 2025.01.23 |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7. 방폭전기 기기 선정 시 온도등급 (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