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격증/가스기술사 54

[가스기술사 2022] 126회 2교시 -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과압에 따른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밸브 등을 설치하는 경우, 파열판을 설치하는 경우, 파열판과 안전밸브를 직렬로 설치하는 경우를 각각 설명하시오.

문제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과압에 따른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밸브 등을 설치하는 경우, 파열판을 설치하는 경우, 파열판과 안전밸브를 직렬로 설치하는 경우를 각각 설명하시오. 압력용기 등의 고압가스설비의 경우, 과압에 따른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폭발 방지 성능과 규격을 갖춘 안전밸브, 파열판 등을 설치해야 함안전밸브 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를 기본으로, 조건에 따라 파열판을 설치해야 하거나, 파열판 및 안전밸브를 직렬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로 나뉨 1. 안전밸브 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압력용기(안지름이 150밀리미터 이하인 압력용기는 제외하며, 압력용기 중 관형 열교환기의 경우에는 관의 파열로 인하여 상승한 압력이 압력용기의 최고사용압력을 초과할 우려가 있는 경우만 해당함)정변위 압축기..

[가스기술사 2022] 126회 2교시 - 1. KGS GC204 2019 매설 가스배관 내진설계 기준에 의거한 내진설계 시 고압가스 배관과 도시가스배관의 재료 및 이음매의 기준을 설명하시오.

문제 1. KGS GC204 2019 매설 가스배관 내진설계 기준에 의거한 내진설계 시 고압가스 배관과 도시가스배관의 재료 및 이음매의 기준을 설명하시오.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도 지진 발생 시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가스 및 사업자 종류 등에 따라 내진등급을 나누어 내진성능 수준을 갖춰야 함 1. 내진설계기준 1) 내진설계 적용대상지하에 매설되는 사업소 밖의 고압가스 배관지하에 매설되는 액화석유가스 배관망공급 제조소 밖의 배관(사용자 공급관과 내관은 제외)지하에 매설되는 사업소 밖의 도시가스 배관(사용자 공급관과 내관은 제외)지하에 매설되는 사업소 밖의 수소 배관(고법의 적용을 받는 수소 배관은 제외) 2) 내진등급 분류내진등급은 시설물의 공공성, 손상 시 초래될 수 있는 재해의 규모와 범위 등을..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13. 신·재생에너지(New renewable energy)의 정의,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종류 각각 3가지

문제 13. 신·재생에너지(New renewable energy)의 정의,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종류 각각 3가지 1. 신·재생에너지(New Renewable Energy)의 정의신에너지는 기존 화석연료를 변환하거나, 수소·산소 등의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에너지를 말하며,재생에너지는 햇빛, 물, 지열, 생물유기체 등 자연에서 반복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자원을 변환하여 이용하는 에너지를 말합니다. 2. 신에너지 종류 (3가지 이상) 1) 수소에너지수소를 연소시켜 에너지를 생성하며, 연소 시 물만 생성 → 환경 친화적 2) 연료전지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촉매 반응)**을 통해 전기 및 열을 동시 생성 3) 석탄액화·가스화 및 중질잔사유가스화석탄 또는 정제 후 잔사유를 가열하거나 ..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12. 고압가스안전관리법상 ‘특정설비’ 종류 5가지

문제 12. 고압가스안전관리법상 ‘특정설비’ 종류 5가지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서 정의하는 특정설비란, 저장탱크, 압력용기, 차량에 고정된 탱크, 안전밸브, 긴급차단장치 등 고압가스 관련 중요 설비를 의미한다.이런 특정설비는 안전관리가 중요하므로, 최초 검사 후 주기적으로 재검사를 받아야 한다. [ 특정설비의 종류 ] 1. 저장탱크고압가스를 충전, 저장하기 위하여 지상 또는 지하에 고정 설치된 탱크를 의미한다.저장능력이 3톤 이상인 것을 저장탱크, 3톤 미만인 것을 소형 저장탱크라고 한다. 2. 압력용기35℃에서 압력 또는 설계압력이 액화가스인 경우 0.2MPa 이상, 압축가스인 경우 1MPa 이상인 용기를 의미한다.여기서 말하는 압력용기는 공정상 설치된 드럼, 탑류, 열교환기 등 Pressure vess..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11. 화학물질관리법상 ‘유해화학물질’ 및 ‘사고대비물질’

문제 11. 화학물질관리법상 ‘유해화학물질’ 및 ‘사고대비물질’ 화학물관리법에서 “유해화학물질”이란 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그 밖에 유해성 또는 위해성이 있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사고대비물질”이란 화학물질 중에서 급성독성(急性毒性)ㆍ폭발성 등이 강하여 화학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거나 화학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그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 유해화학물질의 종류 ] 1. 유독물질유해성이 있는 화학물질로서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을 의미함ex) 염소, 포스겐, 황화수소, 시안화수소, 아황산가스, 암모니아 등2. 허가물질위해성이 있다고 우려되는 화학물질로서 환경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제조, 수입, 사용하도록 환경부장관이 ..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10. 가스 폭발 위험장소의 구분

문제 10. 가스 폭발 위험장소의 구분 가연성 가스가 폭발할 수 있는 농도에 도달할 우려가 있는 곳을 위험장소라고하며, 이에 대한 등급은 0/1/2종 장소로 구분한다. 가스 폭발 위험장소0종 장소 상용의 상태에서 가연성가스의 농도가 연속해서 폭발하한계 이상으로 되는 장소(폭발상한계를 넘 는 경우에는 폭발한계 이내로 들어갈 우려가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1종 장소 상용 상태에서 가연성가스가 체류해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정비보수 또는 누출 등으로 인하여 종종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탱크의 벤트 부분, 탱크로리 등과의 충전 연결부, 피트 등) 2종 장소밀폐된 용기 또는 설비 안에 밀봉된 가연성가스가 그 용기 또는 설비의 사고로 인하여 파손 되거나 오조작의 경우에만 누출할..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9. 최소점화에너지(Minimum Ignition Energy)와 안전막(Safety Barrier)

문제 9. 최소점화에너지(Minimum Ignition Energy)와 안전막(Safety Barrier) 1. 최소점화에너지(MIE) 가연성 가스 및 공기의 혼합가스가 점화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에너지를 의미하며, 가스시설에서 가스가 누출되더라도 점화원의 크기가 최소점화에너지(MIE) 미만이면 점화되지 않으며, 화재/폭발도 발생하지 않는다.본질안전방폭 구조의 경우 MIE 보다 낮은 에너지만을 사용하여 전기 장비가 폭발을 유발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으로, 0/1/2종 장소에 모두 사용 가능하다.최소 점화 에너지 = 최소 발화 에너지 = 최소 착화 에너지MIE = CV^2 / 2MIE : 최소점화에너지(J, 통상 MIE는 매우 적으므로, mJ의 단위를 사용한다)C : 콘덴서용량(F)V : 전압(V)ex. ..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8. 오존층의 역할과 오존층파괴지수(ODP, Ozone Depletion Potential)

문제 8. 오존층의 역할과 오존층파괴지수(ODP, Ozone Depletion Potential)   1. 오존층의 역할오존층은 지구의 '성층권(약 15~35km 고도)'에 존재하는 오존(O₃) 농도가 높은 층으로, 생명체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1 주요 역할자외선(UV) 차단오존층은 태양에서 오는 강력한 '자외선(UV-B, UV-C)'을 흡수하여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양을 줄여준다.UV-B와 UV-C는 생명체의 DNA를 손상시켜 암, 면역력 저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오존층은 생명체를 보호하는 "지구의 보호막"으로 불린다.기후 안정화오존층은 지구의 에너지 균형과 기후 시스템의 안정성에 기여한다.성층권 내 오존은 열을 흡수하여 대기의 온도 분포를 유지한다.생태계 보호오존층은 지표면에 도달하는..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7. 방폭전기 기기 선정 시 온도등급

문제 7. 방폭전기 기기 선정 시 온도등급  방폭전기 기기를 선정할 때 온도등급은 폭발성 가스나 증기 환경에서 기기의 표면 온도가 폭발 가능성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중요한 기준dl다. 이를 위해 폭발성 물질의 발화온도와 기기의 표면 최고 온도를 비교하여 적절한 등급을 선택해야 한다. 1. 온도등급 정의온도등급(Temperature Class)은 전기 기기의 최대 표면 온도를 기준으로 폭발성 환경에서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정된 등급으로 국제 표준(IEC 60079-0)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온도등급 (T등급)최대 표면 온도 (°C)T1≤ 450T2≤ 300T3≤ 200T4≤ 135T5≤ 100T6≤ 85  2. 기기선정기기의 온도등급(T1~T6) 중 발화온도보다 낮은 등급을 선택한다.예를 ..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6. 안전성평가 기법의 정의

문제 6. 안전성평가 기법의 정의1) 사고예상질문분석(what-if) 기법 2) 위험과 운전분석(hazard and operability studies, HAZOP) 기법 3) 결함수분석(fault tree analysis, FTA) 기법 4) 사건수분석(event tree analysis, ETA) 기법 5) 원인결과분석(cause-consequence analysis, CCA) 기법    안전성평가는 위험성평가와 동일한 의미로써, 공정 등에 내재한 위험요소를 발견하고 그 원인을 제거하여 위험을 경감시키는 활동을 의미한다.안전성평가는 잠재적인 위험요소(hazard)를 찾는 정성적평가와 발생빈도 및 크기를 계산하여 위험도(risk)를 측정하는 정량적평가로 나눈다.정성적평가에는 사고예상질문분석, 위험과 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