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위험장소 2

[가스기술사 2023] 129회 3교시 - 2. 분진폭발 위험장소 구분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문제 2. 분진폭발 위험장소 구분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위험장소 구분의 목적가연성 분진이 존재할 수 있는 실제 상황에서 분진폭발 혼합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아주 어려우며, 장비가 절대로 점화원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쉽지 않다.따라서 분진폭발 혼합물 발생 가능성이 큰 경우에는 점화원이 될 가능성이 아주 낮은 장비를 사용하도록 하고, 분진폭발 혼합물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는 보다 덜 엄격하게 설계된 장비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2. 분진폭발 위험장소의 구분 절차1) 물질 특성 확인가연성 여부, 입자 크기, 수분 함량, 분진운과 분진층의 최소 발화온도 및 전기저항률, 분진그룹 등을 확인한다.가연성 부유물 : IIIA비도전성 분진 : IIIB도전성 분진 : IIIC 2) 누출..

[가스기술사 2022] 126회 1교시 - 10. 가스 폭발 위험장소의 구분

문제 10. 가스 폭발 위험장소의 구분 가연성 가스가 폭발할 수 있는 농도에 도달할 우려가 있는 곳을 위험장소라고하며, 이에 대한 등급은 0/1/2종 장소로 구분한다. 가스 폭발 위험장소0종 장소 상용의 상태에서 가연성가스의 농도가 연속해서 폭발하한계 이상으로 되는 장소(폭발상한계를 넘 는 경우에는 폭발한계 이내로 들어갈 우려가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1종 장소 상용 상태에서 가연성가스가 체류해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정비보수 또는 누출 등으로 인하여 종종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탱크의 벤트 부분, 탱크로리 등과의 충전 연결부, 피트 등) 2종 장소밀폐된 용기 또는 설비 안에 밀봉된 가연성가스가 그 용기 또는 설비의 사고로 인하여 파손 되거나 오조작의 경우에만 누출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