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도시가스 4

[가스기술사 2023] 129회 2교시 - 4. 도시가스 정압기의 구조와 안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문제 4. 도시가스 정압기의 구조와 안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시가스 정압기는 1차측 가스 압력을 감압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해주는 장치이다.주요 구조는 압력 조절을 위한 다이어프램, 스프링(또는 웨이트), 메인 밸브 등으로 구성되며, 안전장치로는 안전밸브, 긴급차단장치, 가스누출 검지 및 경보장치 등이 있다. 1. 정압기의 구조1) 다이어프램(Diaphragm)2차측 압력을 감지하여 메인 밸브에 압력 변화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2) 스프링(또는 웨이트)설정된 압력을 유지하도록 다이어프램에 힘을 가하며, 압력 조정 기능을 한다. 3) 메인 밸브(Main Valve)다이어프램의 움직임에 따라 가스 유량을 조절하여 2차측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4)..

[가스기술사 2023] 129회 1교시 - 13. 도시가스사업법령상 내진설계 대상

문제 13. 도시가스사업법령상 내진설계 대상 1. 내진설계지진 발생 시 시설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스시설 등 구조물을 지진에 견디도록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여기서 내진이란, 좁은 의미로 구조물의 강성을 증가시켜 지진하중을 견디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제진(감쇠장치로 진동을 저감)과 면진(구조물과 지반을 분리시켜 진동 미전달)을 포함하기도 한다. 2. 도법상 내진설계 대상가스 제조시설에서 저장능력이 3톤(압축가스는 300m³) 이상인 지상 저장탱크(가스도매사업자가 소유하는 지중식 저장탱크 포함)와 가스홀더가스 충전시설에서 저장능력이 5톤 또는 500m³ 이상인 지상 저장탱크와 가스홀더가스 충전시설에서 반응, 분리, 정제, 증류 등의 탑류로써 동체부 높이가 5m 이상인 압력용..

[가스기술사 2022] 126회 2교시 - 3. 최근 정부에서는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의 일환으로 도시가스 배관망에 수소의혼입을 추진하고 있다. 수소 혼입에 따라 연소기와 가스기기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영향요소 및 검토 필요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문제 3. 최근 정부에서는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의 일환으로 도시가스 배관망에 수소의혼입을 추진하고 있다. 수소 혼입에 따라 연소기와 가스기기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영향요소 및 검토 필요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은 LEDS(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라고도 부르며,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장기 비전과 국가 전략을 담고 있다.2050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LEDS(장기저탄소발전전략) 및 제2차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정부는 도시가스망에 수소를 일정 비율 혼입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수소 경제 이행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가스기술사 2021] 123회 2교시 - 1. 건물의 도시가스 배관을 설계할 경우 관지름 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문제 1. 건물의 도시가스 배관을 설계할 경우 관지름 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관지름 산정 방법1) 유량 산정세대수 x 세대별 가스소비량 x 동시사용률(피크 시 최대유량기준) 2) 압력 산정정압기 공급압력(P1): 180 ~ 230mmAq압력손실: 30 ~ 50mmAq관말단 압력(P2): 단지내 최말단 동 1층 세대 3) 관지름 산정(Pole식) D : 관경(mm)Q : 가스사용량(Nm3/hr)H :압력손실(mmAq)S : 가스비중(LNG : 0.65, 프로판 : 1.52, 부탄 : 2.0)L : 배관길이(m)K : pole 상수(0.75) 4) 관지름 산정 요령저압가스 유량선도 사용 : 선도로 사용구간별 관지름을 구한 후, Pole 공식으로 압력손실을 계산하여 허용압력 손실과 비교하여 최종 관지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