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수소 5

[가스기술사 2023] 129회 4교시 - 6. 수소제조설비 중 ‘수전해설비의 설치기준’을 5가지 설명하시오.

문제 6. 수소제조설비 중 ‘수전해설비의 설치기준’을 5가지 설명하시오. “수소제조설비”란 수소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규칙 제2조제3항에 따른 수소용품 중 수전해설비 및 수소추출설비를 말한다.수전해설비 : 물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그 물로부터 수소를 제조하는 설비 1. 설치기준1) 수전해설비실의 환기가 강제환기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강제환기가 중단되었을 때 수전해 설비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한다.2) 수전해설비를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 해당 실 내의 산소 농도가 23.5% 이하가 되도록 유지한다.3) 수전해설비를 실외에 설치하는 경우 눈, 비, 낙뢰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조치를 한다.4) 수전해설비의 수소 및 산소 방출관의 방출구는 다음 기준에 적합하도록 설치한다.수소 및 산소의 방출관 방출구는..

[가스기술사 2023] 129회 2교시 - 6. 수소의 이용과 저장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문제 6. 수소의 이용과 저장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산업화에 따른 이산화탄소, 메탄 등 온실가스의 증가로 지구 온도가 지속 상승 중임.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경제, 사회적 정책이 강화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무탄소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지속 이뤄지고 있음수소의 경우, 대표적인 무탄소 에너지로써 연소 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기에, 생산, 저장, 운송, 이용 등 여러 분야에서 지속 연구개발 중임 1. 수소의 이용1) 발전연료전지와 가스터빈 발전으로 나눌 수 있음. 연료전지 발전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기 및 열을 생산하는 기술이며, 가스터빈 발전은 수소를 직접 연소하거나 LNG 등에 수소를 혼합, 연소하는 기술이다. 2) 수송수소 연료전지 차 : 연..

[가스기술사 2022] 126회 4교시 - 4. 수소-CNG 복합충전소의 충전 방식과 위험요소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문제 4. 수소-CNG 복합충전소의 충전 방식과 위험요소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 수소-CNG 충전소의 장점수소와 CNG가 모두 고압가스이고 각각의 설비구성 및 충전소 운영방식이 유사하여 안전관리에 이점이 있다.CNG 충전소 대부분이 대도시 인근에 있고, 버스차고지 등의 넓은 부지에 위치해있어 수소 충전시설을 설치하기 유리하다.향후 CNG 충전소에 공급되는 천연가스를 개질하여 수소를 생산/충전하는 방식으로도 전환 가능하다. 2. 수소-CNG 충전소의 충전 방식1) 수소 충전 방식Off-Site 충전소 : 저장식 충전소로써, 외부의 수소 생산지에서 파이프라인이나 튜브 트레일러 등을 통해 수소를 운송한 뒤, 수소 전기차를 충전한다.(현재 국내에 구축된 대부분의 수소 충전소는 튜브 트레일러를 활용한 Of..

[가스기술사 2022] 126회 2교시 - 3. 최근 정부에서는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의 일환으로 도시가스 배관망에 수소의혼입을 추진하고 있다. 수소 혼입에 따라 연소기와 가스기기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영향요소 및 검토 필요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문제 3. 최근 정부에서는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의 일환으로 도시가스 배관망에 수소의혼입을 추진하고 있다. 수소 혼입에 따라 연소기와 가스기기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영향요소 및 검토 필요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은 LEDS(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라고도 부르며,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장기 비전과 국가 전략을 담고 있다.2050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LEDS(장기저탄소발전전략) 및 제2차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정부는 도시가스망에 수소를 일정 비율 혼입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수소 경제 이행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가스기술사 2021] 123회 4교시 - 2. 수소 연료전지(Fuel Cell)에 대하여 다음 각 사항을 설명하시오.

문제 2. 수소 연료전지(Fuel Cell)에 대하여 다음 각 사항을 설명하시오.가. 원리 나. 장점 다. 국내 수소연료전지 상용화 사례 라. LOHC(Liquid Organic Hydrogen Carrier) 마. 촉매를 이용한 효율성 증가     가. 원리수소 연료전지는 수소(H₂)와 산소(O₂)의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장치다연료공급: 연료극(애노드)에 수소가 공급되고, 공기극(캐소드)에는 산소가 공급된다화학반응: 애노드에서 촉매의 도움으로 수소가 양성자(H⁺)와 전자(e⁻)로 분리된다반응식: H₂ → 2H⁺ + 2e⁻전자 이동: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해 이동하며 전기를 발생시킨다양성자 이동: 양성자는 전해질(PEM, Polymer Electrolyte Membrane)을 통해 캐소드로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