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5. 밀폐공간 작업프로그램 추진절차 및 포함할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밀폐공간이란, 환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산소결핍으로 인한 질식, 유해가스로 인한 건강장애, 인화성 물질에 의한 화재․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를 의미함
- 이러한 장소에서 작업할 경우는 재해예방을 위해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을 수립, 시행해야 함
1.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추진절차
1) 밀폐공간 작업대상 선정
- 출입하지 않고 외부에서는 작업할 수 없는 작업대상 선정(잠재적 유해위험요인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도 포함)
2) 질식재해 예방대책 수립
-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 환기대책
- 보호구 선정, 사용, 유지관리 내용
- 응급처치 및 비상연락체계 구축
3) 교육, 훈련 (근로자, 프로그램 추진팀 대상)
-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방법
- 안전작업절차
- 위급 시 대처요령, 보호구 사용방법 등
4) 밀폐공간 작업 모니터링
- 밀폐공간 작업허가
- 작업 지시, 관리감독 등
5) 프로그램 평가
- 재해발생 현황 분석
- 교육 등 연간 업무수행 결과 및 개선내용
- 프로그램의 효용성 및 보완이 필요한 사항
2.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에 포함할 내용
- 밀폐공간 목록 : 밀폐공간의 위치, 형상, 크기, 수량 등 목록 작성
- 사진/도면 : 밀폐공간의 사진이나 도면(필요 시)
- 필요성 : 밀폐공간 작업의 당위성 및 필요성
- 유해위험 요인 : 작업 중 작업특성 또는 주변 환경요인에 의해 질식, 중독, 화재, 폭발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
(근로자가 상시 출입하지 않고 출입이 제한된 장소로써 해당 공간에서 산소결핍, 가스누출 등 유해요인발생 가능성도 포함) - 작업허가 : 밀폐공간 작업에 대한 허가 및 수행 요령
- 교육훈련 : 근로자에 대한 교육과 훈련 방법
- 농도측정 :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의 측정과 후속조치 요령
- 환기장비 : 환기장비의 사용 및 환기요령
- 보호구 : 작업 시 근로자가 착용해야 할 보호구 및 안전장구류
- 감시/연락 : 감시인의 배치와 상시 연락체계 구축방안
- 감독 : 밀폐공간 작업에 대한 감독과 모니터링 방안
- 비상대응 : 비상사태 발생 시 조치 및 보고요령(재해자에 대한 응급처치 포함)
- 평가 : 프로그램의 평가 및 기록보존 방안
* KOSHA Guide H-80-2021 -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수립 및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 참고
H-80-2021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수립 및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pdf
0.53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