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가스기술사

[가스기술사 2023] 129회 1교시 - 12. 사업장의 재해발생지수를 나타내는 종합재해지수

31weeks 2025. 7. 24. 13:10
728x90
반응형

문제 12. 사업장의 재해발생지수를 나타내는 종합재해지수

 

 

  • 사업장의 재해통계를 나타내는 지수로는 도수율(빈도)과 강도율(크기) 등이 있으며, 종합재해지수(도수강도치)는 도수율과 강도율을 결합하여 나타낸 지수임
  • 종합재해지수는 사고의 위험도(risk)를 LoF(Likelihood of Failure) × CoF(Consequence of Failure)로 나타내는 개념과 유사함

 

 

[ 재해통계지수 ]

 

1) 도수율

  • 산업재해의 발생빈도를 의미하며, 100만 근로시간당 재해 건수를 나타낸다.
    • 도수율 = 재해 건수 / 연근로총시간 × 1,000,000
    • 연근로총시간 = 근로자수 × 8hr × 300일)

 

2) 강도율

  • 산업재해로 인한 근로손실정도를 의미하며, 1천 근로시간당 근로손실일수를 나타냄낸다.
    • 강도율 = 근로손실일수 / 연근로총시간 × 1,000
    • 근로손실일수 = 장애등급별 근로손실일수 + 비장애등급 휴업일수 × (300일 / 365일)

 

3) 종합재해지수(도수강도치)

  • 종합적인 재해위험도를 나타내는 지수
    • 종합재해지수 = (도수율 x 강도율)

 

 

 

 

* 산업재해통계업무처리규정 참고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211191

 

산업재해통계업무처리규정 | 국가법령정보센터 | 행정규칙

 

www.law.g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