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가스기술사
[가스기술사 2023] 129회 4교시 - 2. 안전밸브 방출관 등이 연결되는 플레어시스템(Flare System)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고, 플레어스택(Flare Stack)의 설치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트형과 그라운드형의 차이점’을설명하시오.
31weeks
2025. 7. 29. 16:13
728x90
반응형
문제 2. 안전밸브 방출관 등이 연결되는 플레어시스템(Flare System)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고, 플레어스택(Flare Stack)의 설치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트형과 그라운드형의 차이점’을설명하시오.
1. 플레어시스템의 구성요소
1) 플레어헤더(Flare Header)
- 안전밸브 등에서 배출되는 가스나 액체를 그룹별로 모아 플레어스택으로 보내주는 배관이다.
2) 녹아웃드럼(Knock-Out Drum)
- 플레어스택으로 액체 유입 시 버닝레인(Burning Rain)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입되는 가스 중 액체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설비이다.
3) 액체밀봉드럼(Liquid Seal Drum)
- 습식 Seal로써 플레어스택의 화염이 플레어시스템으로 거꾸로 전파되는 것을 막거나, 플레어헤더에 약간의 진공이 형성될 경우 내부로 공기가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이다.
4) 플레어스택(fFare Stack)
- 굴뚝 형식의 소각탑으로써 유입되는 가스를 안전하게 연소시켜주는 설비이며, 스택지지대, 역화 방지를 위한 건식 Seal(Molecular Seal), 점화용 파일롯버너, 플레어버너(팁), 스팀 주입을 위한 Steam Injector 등으로 구성된다.,
2. 플레어스택의 설치형태
1) 엘리베이트형
- 연소가 발생하는 지점을 지면으로부터 높게 하여 복사열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연소생성물 등이 대기로 잘 확산되도록 한 플레어스택을 의미한다.
- 지지대 형태에 따라 Self-Support형, Guyed형, Derrick형, Guyed-Derrick형이 있다.
(높이는 일반적으로 200m 이내)- 장점
- 처리용량이 크다. (시간당 1,000톤 이상)
- 안전성이 높다. - 단점
- 외부에서 불꽃이 보인다.
- 그을음 제거를 위해 스팀을 주입해줘야 한다.
- 보수가 어렵다.
- 장점
2) 그라운드형
- 지면과 가까운 지점에서 연소될 수 있도록 한 플레어스택을 의미하며, 화염으로부터 발생한 복사열과 연소생성물 등을 차단하는 밀폐식 구조(enclosed type)가 주로 사용된다.
(높이는 일반적으로 40m 이내)- 장점
- 불꽃, 복사열 등이 적다.
- 스팀 주입 필요 없다.
- 보수가 용이하다. - 단점
- 처리용량이 적다. (시간당 100톤 이하)
- 용량 대비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 장점
* KOSHA Guide D-59-2020 - 플레어시스템의 설계, 설치 및 운전에 관한기술지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