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가스기술사
[가스기술사 2023] 129회 2교시 - 3. 탄소 포집, 이용, 저장(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1weeks
2025. 7. 24. 15:41
728x90
반응형
문제 3. 탄소 포집, 이용, 저장(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CCUS는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의 약자로써, 석유화학산업, 화력발전, 철강산업 등에서 발생하는 CO2를 포집하여 저장 및 이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 현재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 목표 선언과 함께 저탄소·친환경 경제구조로 전환 중이며,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로 CCUS를 적극 추진 중이다.
[ CCUS 주요 내용 ]
1) 포집(Capture)
- 포집 기술은 여러 물질이 혼합된 배가스에서 CO2를 포집하는 것으로써, 공정 위치에 따라 연소 후(Post-combustion) 포집, 연소 전(Pre-combustion) 포집, 순산소연소(Oxyfuel combustion)로 구분된다.
- 연소 후 포집
- 화석연료 연소 배가스에 포함된 CO2를 선택적으로 포집하여 고농도로 회수하는 기술이다. - 연소 전 포집
- 연료를 산소와 반응시켜 합성가스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CO2를 포집함으로써, 수소만 생산하여 연료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 순산소 연소
- 순수한 산소로만 연료를 연소하여 배가스로 CO2와 수분만 나오도록 하는 기술이며, 이 경우 추가적인 CO2 포집설비가 필요 없다.
- 연소 후 포집
2) 저장(Storage)
- 저장 기술은 포집된 CO2가 대기 중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지중과 해양 등에 저장하는 것이다.
- 지중 저장
- 육상이나 해저에 존재하는 적합한 지층에 초임계 상태의 CO2를 직접 주입하여 저장하는 기술이며, 유전, 가스전, 대염수층, 채광 불가 석탄층 등의 지층을 사용한다. - 해양 저장
- 1,000 ~ 3,000m 깊이의 심해에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CO2를 직접 분사하여 저장하는 기술이며, 현재 해양 생태계 파괴 및 해양환경 위해성 문제로 사용이 금지된 상황이다.
- 지중 저장
3) 이용(Utilization)
- 이용 기술은 포진된 CO2를 화학적·생물학적 변환 과정을 거쳐 가치 있는 제품 등으로 전환하는 것이며, CO2를 바로 사용하는 직접 이용기술과 CO2를 유용한 제품으로 바꾸는 전환기술로 구분한다.
- 직접 이용기술
- 높은 열흡수능력, 안정적 특성, 용제 역할 등 CO2의 고유한 물성을 활용하여 작물 수확량 향상, 용제 활용, 냉방/냉장을 위한 열전달 유체, 식음료 생산 등에 이용한다. - 전환 기술
- 다양한 화학적·생물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CO2를 연료, 화학물질, 건축자재 등으로 전환하는 것으로써 개발 초기 단계이다.
- 직접 이용기술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CCUS 심층 투자 분석 보고서 참고
728x90
반응형